맨위로가기

1971년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1년 오스트리아 그랑프리는 재키 스튜어트가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확정짓고, 요 지페르트가 우승한 포뮬러 원 레이스이다. 지페르트는 예선에서 폴 포지션을 차지하고 결승에서도 선두를 유지하며 우승을 거두었다. 스튜어트는 레이스 중 사고로 리타이어했지만, 경쟁자들이 부진하면서 챔피언십 우승을 확정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 레드불 링
    오스트리아 슈필베르크에 위치한 레드불 링은 1969년 외스터라이히링으로 개장하여 A1-링을 거쳐 재건축 후 2011년 재개장했으며, 포뮬러 원, MotoGP 등 국제적인 모터스포츠 대회와 콘서트가 열리는 복합 문화 공간이다.
1971년 오스트리아 그랑프리
레이스 정보
종류F1
국가오스트리아
그랑프리오스트리아
에스테라이히링크 (1971년)
에스테라이히링크 (1969-1976)
날짜8월 15일
연도1971년
레이스 번호8
시즌 번호11
공식 명칭IX Großer Preis von Österreich
위치에스테라이히링크, 오스트리아 슈타이어마르크주 슈필베르크
코스 종류영구 레이싱 시설
코스 길이 (마일)3.673
코스 길이 (킬로미터)5.912
랩 수54
총 거리 (마일)198.686
총 거리 (킬로미터)317.347
날씨맑음 (건조)
예선
폴 포지션 드라이버조 시페르트
폴 포지션 팀BRM
폴 포지션 랩 타임1:37.44
폴 포지션 드라이버 국가스위스
결승
가장 빠른 랩 드라이버조 시페르트
가장 빠른 랩 팀BRM
가장 빠른 랩 타임1:38.47
가장 빠른 랩22
가장 빠른 랩 드라이버 국가스위스
1위 드라이버조 시페르트
1위 팀BRM
1위 드라이버 국가스위스
2위 드라이버에머슨 피티팔디
2위 팀로터스-포드
2위 드라이버 국가브라질
3위 드라이버팀 쉔켄
3위 팀브라밤-포드
3위 드라이버 국가오스트레일리아
랩 차트

2. 배경

레이스 전 드라이버 및 생산자 챔피언십 순위는 다음과 같다.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순위드라이버점수
1영국 재키 스튜어트51
2벨기에 재키 익스19
3스웨덴 로니 페테르손17
4브라질 에머슨 피티팔디16
5스위스 조 지퍼트13
출처:[4]



;생산자 챔피언십 순위

순위컨스트럭터점수
1영국 티렐-포드51
2이탈리아 페라리32
3영국 BRM21
4영국 로터스-포드19
5영국 마치-포드18
출처:[4]


  • '''참고''': 순위는 두 부문 모두 상위 5위까지만 포함된다.

2. 1. 1971년 F1 시즌의 전반적인 상황

재키 스튜어트는 이전 경기인 독일 GP까지 치러진 7번의 레이스에서 5승을 거두며 총 51점을 획득했다. 이는 챔피언십 포인트 19점으로 2위를 기록 중인 자키 익스보다 32점, 17점으로 3위인 로니 페터슨보다 34점이나 앞선 압도적인 성적이었다.

시즌 종료까지 남은 경기는 단 4개뿐이었기 때문에, 익스나 페터슨이 스튜어트를 역전하고 챔피언 타이틀을 차지하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익스가 역전 우승을 하려면 남은 4경기에서 스튜어트가 단 1점도 얻지 못하는 동시에, 자신은 최소 3승과 2위 1회 이상을 기록해야 했다. 페터슨의 경우는 남은 4경기를 모두 우승해야만 역전이 가능했다.

따라서 이번 오스트리아 그랑프리에서 익스가 3위 이하의 성적을 거두고, 페터슨이 2위 이하로 레이스를 마치면 남은 경기 결과와 상관없이 스튜어트의 시즌 챔피언이 확정되는 상황이었다.

3. 참가 드라이버 및 팀

마트라는 이전 대회인 독일 GP에서의 부진한 성적 이후 다음 대회인 이탈리아 GP를 대비해 새로운 엔진을 준비하기 위해 이번 경주에 불참했다.[22] 맥라렌 팀은 성적 부진을 이유로 피터 게신을 해고하고 재키 올리버로 교체했다. 게신은 BRM으로 이적하여 조 지페르, 하우덴 건레이와 함께 P160 머신을 운전하게 되었다. 기존에 건레이가 사용하던 P153 머신은 오스트리아 출신의 신인 드라이버 헬무트 마르코에게 주어졌다. 마치 팀 역시 오스트리아 출신의 신인 니키 라우다를 기용했다. 라우다에게는 이전에 난니 갈리가 사용하던 알파 로메오 엔진용 711 섀시에 엔진만 DFV로 교체한 머신이 제공되었다(기어박스는 알파 로메오 제품 유지). 갈리는 다른 알파 로메오 엔진용 711 머신으로 옮겨탔는데, 이 머신은 원래 안드레아 데 아다미치가 사용할 예정이었기 때문에 데 아다미치는 이번 경주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다.[22] 또한, 페라리마리오 안드레티는 엔트리만 등록하고 실제 참가하지 않았으며,[22] 마트라의 장피에르 벨투아즈는 지난 1월 1971년 부에노스아이레스 1000km 레이스에서의 사고 책임으로 출전이 정지된 상태였다.[12]

No.드라이버컨스트럭터섀시엔진타이어
영국 골드리프 팀 로터스2브라질 에머슨 피티팔디로터스72D포드-코스워스 DFV 3.0L V8파이어스톤
3스웨덴 레이네 비셀
이탈리아 스쿠데리아 페라리 SpA SEFAC4벨기에 재키 익스페라리312B2페라리 001/1 3.0L F12파이어스톤
5스위스 클레이 레가조니
영국 모터레이싱 디벨롭먼트 리미티드7영국 그레이엄 힐브라밤BT34포드-코스워스 DFV 3.0L V8굿이어
8오스트레일리아 팀 쉔켄BT33
영국 브루스 맥라렌 모터레이싱9뉴질랜드 데니스 헐름맥라렌M19A포드-코스워스 DFV 3.0L V8굿이어
10영국 재키 올리버M14A
영국 엘프 팀 티렐11영국 재키 스튜어트티렐003포드-코스워스 DFV 3.0L V8굿이어
12프랑스 프랑수아 세베르002
영국 야드레이 팀 BRM14스위스 조 지페르BRMP160BRM P142 3.0L V12파이어스톤
15뉴질랜드 하우덴 건레이
23영국 피터 게신
16오스트리아 헬무트 마르코P153
영국 STP 마치 레이싱 팀17스웨덴 로니 페테르손마치711포드-코스워스 DFV 3.0L V8파이어스톤
26오스트리아 니키 라우다
19이탈리아 난니 갈리알파 로메오 T33 3.0L V8
영국 브룩본드 옥소 팀 서티스22영국 존 서티스서티스TS9포드-코스워스 DFV 3.0L V8파이어스톤
영국 아웃 모토르 운트 슈포르트 팀 서티스24서독 롤프 스토멜렌
영국 프랭크 윌리엄스 레이싱카25프랑스 앙리 페스카롤로마치711포드-코스워스 DFV 3.0L V8파이어스톤
영국 클라크-모다운트-가슬리 레이싱27영국 마이크 보이트러마치711포드-코스워스 DFV 3.0L V8파이어스톤
스위스 에큐리 보니에28스웨덴 요아킴 보니에맥라렌M7C포드-코스워스 DFV 3.0L V8굿이어
출처:[11]


4. 예선

BRM의 V12 엔진은 V8 엔진의 포드 코스워스 DFV 엔진을 탑재한 티렐이나 매우 불안정한 페라리의 수평 대향 12기통 엔진에 비해 장점이 있었고, 요 지페르트가 재키 스튜어트를 0.21초 차로 앞서 1968년 멕시코 그랑프리 이후 3년 만에 개인 통산 두 번째이자 마지막 폴 포지션을 획득했다.[13][10] BRM에게는 1965년 미국 그랑프리의 그레이엄 힐 이후 6년 만의 폴 포지션 획득이었다.[14][10] 스튜어트의 팀 동료인 프랑수아 세베르가 3위, 페라리의 클레이 레가초니가 4위로 2열 그리드를 확보했다. 로터스의 에머슨 피티팔디가 레가초니와 같은 기록으로 5위, 페라리의 재키 익스는 6위로 3열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브라밤은 팀 쉔켄이 7위, 힐이 8위로 4열에 나란히 섰다.[10] 데니 헐름(맥라렌)은 9위, 레인 위셀(로터스)은 10위, 로니 페터슨(마치)은 11위를 기록했다.[10]

순위번호드라이버컨스트럭터시간차이
114스위스 요 지페르트BRM1:37.44
211영국 재키 스튜어트티렐-포드1:37.65+0.21
312프랑스 프랑수아 세베르티렐-포드1:37.86+0.42
45스위스 클레이 레가초니페라리1:37.90+0.46
52브라질 에머슨 피티팔디로터스-포드1:37.90+0.46
64벨기에 재키 익스페라리1:38.27+0.83
78오스트레일리아 팀 쉔켄브라밤-포드1:38.64+1.20
87영국 그레이엄 힐브라밤-포드1:38.70+1.26
99뉴질랜드 데니 헐름맥라렌-포드1:38.80+1.36
103스웨덴 레인 위셀로터스-포드1:38.95+1.51
1117스웨덴 로니 페터슨마치-포드1:39.01+1.57
1224서독 롤프 스토멜렌서티스-포드1:39.08+1.64
1325프랑스 앙리 페스카롤로마치-포드1:39.09+1.65
1415뉴질랜드 하우든 간리BRM1:39.46+2.02
1519이탈리아 난니 갈리마치-알파 로메오1:39.54+2.10
1623영국 피터 게틴BRM1:39.67+2.23
1716오스트리아 헬무트 마르코BRM1:39.80+2.36
1822영국 존 서티스서티스-포드1:40.37+2.93
1927영국 마이크 보틀러마치-포드1:41.46+4.02
2028스웨덴 조 보니에맥라렌-포드1:41.66+4.22
2126오스트리아 니키 라우다마치-포드1:43.68+6.24
2210영국 재키 올리버맥라렌-포드1:44.22+6.78
출처:[2]


5. 결승

요 시퍼트는 스타트에서 리드를 잡았고[18], 클레이 레가조니가 바깥쪽에서 재키 스튜어트를 추월하려 했지만 스튜어트가 막아내 2위를 지켰다. 시퍼트는 스튜어트와의 격차를 벌려나갔다. 레가조니는 프랑수아 세베르와 3위를 다투었으나[10], 8랩에서 엔진 트러블로 리타이어했다[18]. 재키 익스는 팀 쉔켄과 에머슨 피티팔디의 공격을 받았고[10], 기계적인 문제로 순위가 떨어졌다.

21랩째에, 차의 핸들링에 문제를 겪던 스튜어트는 팀 동료인 세베르에게 길을 내주었다. 후방에서는 쉔켄과 피티팔디, 레인 위젤과 그레이엄 힐에 의한 두 대의 브라밤과 로터스 간의 경쟁이 벌어졌다. 익스는 31랩째에 점화 플러그 문제로 리타이어하면서 챔피언 획득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졌다[10]. 피티팔디는 쉔켄을 추월하고 스튜어트를 따라잡기 시작했다.

스튜어트의 레이스는 36랩째에 격렬한 사고로 끝났다. 그의 왼쪽 뒤 드라이브 샤프트가 부러지면서 바퀴가 떨어져 나간 것이다[10]. 그는 부상 없이 차에서 빠져나왔고, 경쟁자 익스의 리타이어로 인해 3경기를 남겨두고 1971년 월드 챔피언으로 확정되었다[7]. 세베르는 시퍼트를 추격했지만, 기어 박스 고장으로 5단과 4단을 잃었고, 42랩째에 피티팔디에게 추월당한 직후 엔진마저 고장나 리타이어했다[10].

선두를 독주하던 시퍼트였지만, 레이스 막판 왼쪽 뒷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하면서 페이스가 떨어졌다. 2위로 올라선 피티팔디가 격차를 빠르게 좁혀왔지만, 시퍼트는 고장난 차를 끝까지 몰아 피티팔디를 4.12초 차이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18]. 이는 시퍼트에게 1968년 영국 그랑프리 이후 3년 만의 개인 통산 두 번째 우승이었으며[13], 폴 포지션, 패스티스트 랩, 모든 랩 리드를 기록하는 그랜드 슬램[19]으로 장식한 우승이었다[20]. 결과적으로 이 우승은 시퍼트의 마지막 F1 우승이 되었다[13].

3위로 경기를 마친 쉔켄은 자신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포디움을 획득했다[10]. 이어서 로터스의 위젤이 4위, 브라밤의 힐이 5위로 시즌 첫 포인트를 기록했다. 윌리엄스 소속으로 마치 711 머신을 몬 앙리 페스카롤로가 6위로 입상했다. 스튜어트의 또 다른 챔피언십 경쟁자였던 로니 페터슨은 8위에 그치며 스튜어트의 챔피언 등극을 막지 못했다[10].

순위No.드라이버컨스트럭터랩 수시간/리타이어 사유그리드포인트
114스위스 요 시퍼트BRM541:30:23.9119
22브라질 에머슨 피티팔디로터스-포드54+4.1256
38오스트레일리아 팀 쉔켄브라밤-포드54+19.7774
43스웨덴 레인 위젤로터스-포드54+31.87103
57영국 그레이엄 힐브라밤-포드54+48.4382
625프랑스 앙리 페스카롤로마치-포드54+1:24.51131
724서독 롤프 스토멜렌서티스-포드54+1:37.4212
817스웨덴 로니 페터슨마치-포드53+1 Lap11
910영국 재키 올리버맥라렌-포드53+1 Lap22
1023영국 피터 게틴BRM52+2 Laps16
1116오스트리아 헬무트 마르코BRM52+2 Laps17
1219이탈리아 난니 갈리마치-알파 로메오51+3 Laps15
NC27영국 마이크 보이트러마치-포드47규정 랩 수 부족19
Ret12프랑스 프랑수아 세베르티렐-포드42엔진3
Ret11영국 재키 스튜어트티렐-포드35하프 샤프트2
Ret4벨기에 재키 익스페라리31엔진6
Ret26오스트리아 니키 라우다마치-포드20핸들링21
Ret22영국 존 서티스서티스-포드12엔진18
Ret5스위스 클레이 레가조니페라리8엔진4
Ret15뉴질랜드 하우든 간리BRM5점화14
Ret9뉴질랜드 데니 헐름맥라렌-포드4엔진9
DNS28스웨덴 요아킴 보니에맥라렌-포드연료 누출20

[21]


  • 우승자 조 시퍼트의 평균 속도[22]: 211.858km/h
  • 패스티스트 랩[23]: 조 시퍼트 - 1:38.47 (29랩)
  • 랩 리더[24]: 조 시퍼트 - 54랩 (전 랩)


'''달성된 주요 기록'''[10]

  • 드라이버
  • * 2번째 챔피언 - 재키 스튜어트
  • * 첫 그랑프리 출전 - 니키 라우다[25]
  • * 첫 그랑프리 출전 및 완주 - 헬무트 마르코[26]
  • * 첫 그랜드 슬램, 마지막 우승, 마지막 폴 포지션, 마지막 패스티스트 랩 - 조 시퍼트[20][10]
  • * 첫 포디움 피니시이자 마지막 포디움 피니시 - 팀 쉔켄[27]
  • 컨스트럭터
  • * 10번째 폴 포지션 - BRM
  • 엔진 제조사
  • * 10번째 폴 포지션 - BRM

6. 경기 결과

폴 포지션에서 출발한 스위스의 요 지페르트가 BRM 차량으로 레이스 전체 54랩을 선도하며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했다.[24][21][3] 브라질의 에머슨 피티팔디 (로터스-포드)가 2위, 오스트레일리아의 팀 쉔켄 (브라밤-포드)이 3위를 기록하며 포디움에 올랐다.[21][3] 한편, 당시 챔피언십 선두였던 영국재키 스튜어트 (티럴-포드)는 35랩에서 하프 샤프트 문제로, 벨기에의 재키 익스 (페라리)는 31랩에서 엔진 문제로 리타이어하며 경기를 완주하지 못했다.[21][3]

6. 1. 예선 결과

BRMV12 엔진V8 엔진의 포드 코스워스 DFV를 탑재한 티렐이나 매우 불안정한 페라리의 수평 대향 12기통 엔진에 비해 장점이 있었고, 요 지페르트가 재키 스튜어트를 0.21초 차로 앞서 1968년 멕시코 그랑프리 이후 3년 만에 두 번째이자 마지막 폴 포지션을 획득했다.[13][10] BRM에게는 1965년 미국 그랑프리의 그레이엄 힐 이후 6년 만의 폴 포지션 획득이었다.[14][10] 스튜어트의 팀 동료인 프랑수아 세베르가 3위, 페라리의 클레이 레가초니가 4위로 2열에 위치했다. 로터스의 에머슨 피티팔디는 레가초니와 같은 기록으로 5위에 올랐고, 페라리의 재키 익스는 6위로 3열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브라밤은 팀 쉔켄이 7위, 힐이 8위로 4열에 나란히 섰으며, 마치의 로니 페터슨은 11위를 기록했다.[10]

순위번호드라이버컨스트럭터시간차이그리드
114요 지페르트BRM1:37.44-1
211재키 스튜어트티렐-포드1:37.65+0.212
312프랑수아 세베르티렐-포드1:37.86+0.423
45클레이 레가초니페라리1:37.90+0.464
52에머슨 피티팔디로터스-포드1:37.90+0.465
64재키 익스페라리1:38.27+0.836
78팀 쉔켄브라밤-포드1:38.64+1.207
87그레이엄 힐브라밤-포드1:38.70+1.268
99데니 헐름맥라렌-포드1:38.80+1.369
103레인 위셀로터스-포드1:38.95+1.5110
1117로니 페터슨마치-포드1:39.01+1.5711
1224롤프 스토멜렌서티스-포드1:39.08+1.6412
1325앙리 페스카롤로마치-포드1:39.09+1.6513
1415하우든 간리BRM1:39.46+2.0214
1519난니 갈리마치-알파 로메오1:39.54+2.1015
1623피터 게틴BRM1:39.67+2.2316
1716헬무트 마르코BRM1:39.80+2.3617
1822존 서티스서티스-포드1:40.37+2.9318
1927마이크 보틀러마치-포드1:41.46+4.0219
2028조 보니에맥라렌-포드1:41.66+4.2220
2126니키 라우다마치-포드1:43.68+6.2421
2210재키 올리버맥라렌-포드1:44.22+6.7822
출처:[15][16][17]


6. 2. 결승 결과

순위No.드라이버컨스트럭터랩 수시간/리타이어 사유그리드포인트
114요 지페르트BRM541:30:23.9119
22에머슨 피티팔디로터스-포드54+4.1256
38팀 쉔켄브라밤-포드54+19.7774
43레이네 비셀로터스-포드54+31.87103
57그레이엄 힐브라밤-포드54+48.4382
625앙리 페스카롤로마치-포드54+1:24.51131
724롤프 스톰멜른서티스-포드54+1:37.4212
817로니 피터슨마치-포드53+1 Lap11
910재키 올리버맥라렌-포드53+1 Lap22
1023피터 게틴BRM52+2 Laps16
1116헬무트 마르코BRM52+2 Laps17
1219난니 갈리마치-알파 로메오51+3 Laps15
NC27마이크 뷰틀러마치-포드47규정 랩 수 부족19
Ret12프랑수아 세베르티럴-포드42엔진3
Ret11재키 스튜어트티럴-포드35하프 샤프트2
Ret4재키 익스페라리31엔진6
Ret26니키 라우다마치-포드20핸들링21
Ret22존 서티스서티스-포드12엔진18
Ret5클레이 레가조니페라리8엔진4
Ret15하우든 갠리BRM5점화14
Ret9대니 흄맥라렌-포드4엔진9
DNS28요아킴 보니에맥라렌-포드연료 누출20
소스:[21][3]


  • '''우승자 요 지페르트의 평균 속도''':[22] 211.858km/h
  • '''패스티스트 랩''':[23] 요 지페르트 - 1:38.47 (29랩)
  • '''랩 리더''':[24] '''요 지페르트''' - 54랩 (전 랩)


'''달성된 주요 기록'''[10]

  • 드라이버
  • * 2번째 챔피언 - 재키 스튜어트
  • * 첫 그랑프리 출전 - 니키 라우다[25]
  • * 첫 그랑프리 출전 및 완주 - 헬무트 마르코[26]
  • * 첫 그랜드 슬램, 마지막 우승, 마지막 폴 포지션, 마지막 패스티스트 랩 - 요 지페르트[20][10]
  • * 첫 포디움 피니시 및 마지막 포디움 피니시 - 팀 쉔켄[27]
  • 컨스트럭터
  • * 10번째 폴 포지션 - BRM
  • 엔진
  • * 10번째 폴 포지션 - BRM

7. 챔피언십 순위

레이스 결과, 재키 익스가 31랩에서 리타이어하고 로니 피터슨이 8위에 그치면서, 재키 스튜어트는 남은 3경기의 결과와 관계없이 1971년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는 스튜어트의 개인 통산 두 번째 챔피언 타이틀이었다.[7][10]

아래는 레이스 종료 후 챔피언십 순위이다.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드라이버포인트
1재키 스튜어트51
2재키 익스19
3로니 피터슨17
4에머슨 피티팔디16
5조 시퍼트13
출처: [28]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컨스트럭터포인트
1티렐-포드51
2페라리32
3BRM21
4로터스-포드19
5마치-포드18
출처: [28]


  • 주: 상위 5위까지 표시. 전반 6개 레이스 중 베스트 5개 레이스, 후반 5개 레이스 중 베스트 4개 레이스 점수를 합산한다.

8. 의의 및 영향

1971년 오스트리아 그랑프리는 스위스 출신 드라이버 조 시퍼트에게 F1 경력상 마지막 우승을 안겨준 경주였다.[20] 그는 이 경기에서 폴 포지션, 패스티스트 랩, 우승을 모두 달성하며 자신의 첫 번째 그랜드 슬램을 기록하기도 했다.[10] 또한, 이 경기를 통해 재키 스튜어트는 개인 통산 두 번째 월드 챔피언십 타이틀을 확정지었다.[10]

오스트리아 출신의 두 드라이버, 헬무트 마르코와 니키 라우다가 이 그랑프리를 통해 F1 무대에 데뷔했다.[25][26] 마르코는 데뷔전에서 완주에 성공했다.[26] 한편, 호주 출신 드라이버 팀 쉔켄은 이 경기에서 3위를 차지하며 자신의 처음이자 마지막 포디움 피니시를 기록했다.[27]

컨스트럭터 BRM에게는 팀 통산 10번째 폴 포지션을 달성한 의미있는 대회였다.[10] 조 시퍼트의 우승과 더불어 BRM 팀에게는 1970년대 초반의 성공적인 시기를 상징하는 경기로 평가받는다.

9. 한국 F1과의 연관성

1971년 오스트리아 그랑프리한국F1 역사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하지만 당시 F1의 기술적 수준이나 시대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참고 자료가 될 수 있다. 특히, 이 대회에서 우승한 조 지페르와 같은 드라이버의 활약상은 한국의 모터스포츠 팬들에게는 다소 생소할 수 있지만, F1 역사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사례이다.

또한, 2010년대 한국에서 F1 코리아 그랑프리가 개최되었던 영암코리아 인터내셔널 서킷과 1971년 당시의 오스트리아 외스터라이히링 서킷의 특성, 안전 규정 등을 비교하며 F1의 시대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1971년 당시 서킷의 안전 시설이나 레이스 운영 방식은 현재와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F1 기술과 안전 기준의 발전을 보여주는 지표가 될 수 있다.

10. 기타

이 그랑프리 결과, 드라이버 및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는 다음과 같이 변경되었다.

'''드라이버 챔피언십 순위'''

순위드라이버점수
1영국 재키 스튜어트51
2벨기에 재키 익스19
3스웨덴 로니 페테르손17
4브라질 에머슨 피티팔디16
5스위스 조 지페르트13
출처:[4]



'''컨스트럭터 챔피언십 순위'''

순위컨스트럭터점수
1영국 티렐-포드51
2이탈리아 페라리32
3영국 BRM21
4영국 로터스-포드19
5영국 마치-포드18
출처:[4]


  • '''참고''': 순위는 두 부문 모두 상위 5위까지만 포함된다.


이 그랑프리에서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록들이 달성되었다.[10]

  • '''드라이버'''
  • * 재키 스튜어트: 2번째 월드 드라이버 챔피언십 우승 확정.
  • * 니키 라우다: 포뮬러 원 데뷔.[25]
  • * 헬무트 마르코: 포뮬러 원 데뷔 및 첫 완주.[26]
  • * 조 지페르트: 개인 통산 첫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으며, 이는 그의 마지막 F1 우승, 마지막 폴 포지션, 마지막 패스티스트 랩 기록이기도 하다.[20][10][13] 안타깝게도 지페르트는 이 그랑프리로부터 약 2개월 뒤인 1971년 10월, 영국 브랜즈 해치 서킷에서 열린 비챔피언십 레이스인 월드 챔피언십 빅토리 레이스(World Championship Victory Race)에서 사고로 사망했다.
  • * 팀 쉔켄: 생애 첫 F1 포디움에 입성했으며, 이는 그의 유일한 포디움 기록으로 남았다.[27]
  • '''컨스트럭터'''
  • * BRM: 통산 10번째 폴 포지션 획득.
  • '''엔진 제조사'''
  • * BRM: 통산 10번째 폴 포지션 획득.


우승자 조 지페르트의 평균 속도는 211.858km/h였다.[22] 패스티스트 랩은 29랩에서 조 지페르트가 기록한 1분 38.47초이다.[23] 조 지페르트는 레이스 시작부터 끝까지 총 54랩 동안 선두를 유지하며 레이스를 지배했다.[24]

참조

[1] 웹사이트 1971 Austrian Grand Prix Entry list http://www.racingspo[...]
[2] 서적 The Motor Racing Year No3
[3] 웹사이트 1971 Austrian Grand Prix http://www.formula1.[...] formula1.com 2015-12-22
[4] 웹사이트 Austria 1971 - Championship • STATS F1 https://www.statsf1.[...] 2019-03-07
[5] 간행물
[6] 학술지 1971 Austrian Grand Prix Entry list http://www.racingspo[...]
[7] 간행물
[8] 간행물
[9] 문서
[10] 웹사이트 Austria 1971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14
[11] 웹사이트 Austria 1971 - Race entrants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14
[12] 웹사이트 Britain 1971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2-09
[13] 웹사이트 戦績:J.シフェール https://www.f1-data.[...] F1 DataWeb 2020-03-14
[14] 웹사이트 戦績:BRM https://www.f1-data.[...] F1 DataWeb 2020-03-14
[15] 서적 The Motor Racing Year No3
[16] 웹사이트 Austria 1971 - Qualifications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14
[17] 웹사이트 Austria 1971 - Starting grid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14
[18] 웹사이트 Austrian GP, 1971 https://www.grandpri[...] grandprix.com 2020-03-14
[19] 문서
[20] 웹사이트 F1 Grand Chelem/Grand Slams Records (2017年イギリスGP終了時点) https://www.sportske[...] Sportskeeda 2020-03-14
[21] 웹사이트 1971 Austrian Grand Prix http://www.formula1.[...] formula1.com 2015-12-22
[22] 웹사이트 Austria 1971 - Result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14
[23] 웹사이트 Austria 1971 - Best laps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14
[24] 웹사이트 Austria 1971 - Laps led https://www.statsf1.[...] STATS F1 2020-03-14
[25] 웹사이트 戦績:N.ラウダ https://f1-data.jp/s[...] F1 DataWeb 2020-03-14
[26] 웹사이트 戦績:H.マルコ https://f1-data.jp/s[...] F1 DataWeb 2020-03-14
[27] 웹사이트 戦績:T.シェンケン https://f1-data.jp/s[...] F1 DataWeb 2020-03-14
[28] 웹사이트 Austria 1971 - Championship https://www.statsf1.[...] STATS F1 2019-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